이스라엘 왕들의 통치와 유다 왕의 통치 연대를 산정할 때 어떤 원리가 적용되었는가?
RevSuh  2008-07-31 12:06:37 hit: 1,269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와 제 십팔년에 아비얌이 유다 왕이 되고" (왕상 15:1)

우리말 성경에는 위에서처럼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왕 제 팔 년에 하였으나 영역 성경에는 여로보암 다음에 그의 호칭으로 왕이 빠져 있다.  다만 여로보암은 그의 아비 느밧에 의해서만 그의 신분이 확인되고 있다.  따라서 저자가 여로보암에게 왕의 호칭을 거부한 것인데 그 의도는 여로보암의 통치는 유다 왕들에 의해서만 인정하려는 것이었다(1).

그런데 여기 열왕기상,하에서 특별히 문제가 되는 것은 통치자들의 연대 특별히 유다의 왕들의 연대이다.  왕들의 통치 연대가 애매한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그것은 왕들의 통치 기간을 계산하는 방법이 달랐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어떤 경우에는 공동통치나 섭정으로 인해서 한 왕 대신 두 왕의 통치 기간으로 설명이 가능하며 다른 경우는 왕이 즉위한 때를 그의 통치의 해로 계산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

역시 유다와 이스라엘은 그들의 새해의 시작에서도 서로 달랐다(2).
그러면 왜 유다와 이스라엘은 왕의 통치 연대 계산에서 서로 달랐는가?  그 이유가 있었다면 그것은 무엇인가?

근래에 시카고 대학의 종교학과 교수인 티레(Edwin R.Thiele)는 The Mysterious Numbers of the Hebrew Kings를 출판했다(1951).  이 책은 히브리 연대에 대한 바른 이해를 위해 중요한 원리들을 소개해 주고 있다.
그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 왕의 통치 햇수를 계산하는 두 가지 방법
    티엘레(Thiele)에 의하면 왕국의 분열 후에 북왕조는 비즉위해 방법을 채택한 반면, 남왕조는 계속하여 즉위해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 상황은 아합의 딸 아달리야와 결혼을 통해서 북왕조와 동맹을 했던 유다의 여호람 통치 때까지 우세하였다. 그는 주전 848년에 이스라엘의 비즉위해 체계를 채택하였다. 그러나 후에 요아스와 아마시야 시대에 와서(주전 796) 두 왕국은 아마도 앗수리아의 영향의 중대 때문에 즉위해 연대로 바꾼 것같다.

2. 치세 햇수를 계산하는 두 가지 방법
    두 왕조는 치세 햇수를 계산하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종교적인 해가 니산에서 니산까지로 계산한데 반해(출 12:2), 역년(civil year)은 가을에 시작되며 디스리에서 디스리로 계산했다(참고;  레 23:24). 예를 들어 솔로몬의 통치 해는 디스리로부터 계산되었으며 남왕조의 그의 후계자들은 그들의 통치 해를 디스리에서 디스리 해에 근거하여 계산하였다(왕상 6:1, 37). 북왕조에서 여로보암은 경쟁 유다 왕조에서 지키는 관습을 따르기보다 애굽이나 메소포다미아에서 지켰던 대로 봄 새해의 관례를 채용하였다(참고; 왕상 12:2-3, 20, 32-33; 15:1).

3. 치세는 항상 공식적인 즉위 해로부터 계산하지 않았다. 특별한 경우 어떤 왕은 그의 아버지와 함께 다스리는 섭정을 했다. 예를 들어 다윗은 그의 죽기 전에(왕상 1:39; 2:1) 기름 부은 왕 솔로몬과 함께 다스렸다.  섭정은 그 왕의 즉위해보다 부왕과 함께 시작한 해로부터 시작되었다.

4. 성경 밖의 자료들의 대조 역사 연표
    이스라엘과 유다 왕조들에 대한 구약 연대의 전 체계는 천문학상으로 증명된 앗수리아의  조상 명단의 절대적인 연대와 그 요점에서 맞물려질 수 있다. 그 명단은 이름들만 아니라 그 해의 중요한 사건들 예를 들어 주전 763년 6월 15일에 일식도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티리(Thiele)의 원리를 이런 연대에 적용함으로서 우리는 왕조의 분열 연대가 주전 931년이었다는 결론을 할 수 있다. 이 결정적인 연대로부터 연대 학자는 이스라엘의 역사에서 다른 중요한 연대를 결정하기 위해 더하기도 하고 빼기도 할 수 있다(3). 따라서 드브리스(Simon J. Devries)는 아래와 같이 유다와 이스라엘 왕들의 통치 기간을 확정하였다(4).
1) 유다: 르호보암, 931-913; 아비얌, 913-911; 아사, 911-870; 여호사밧, 870-848; 여호람, 848-841;  아하시야, 841;
2) 이스라엘: 여로보암, 931-910; 나답, 910-909; 바아사, 909-886; 엘라, 886-885; 시므이, 885; 오므리, 885-874; 아합, 874-853; 아하시야, 853; 요담, 852-841.

   주
   1. Simon J. Devries, 1 Kings(Waco: Word, 1985), p.186
   2. John F. Walvoord and Roy B. Zuck, the Bible knowledge Commentary(Victor Books, 1985), p.484
   3. J. Carl Laney, Answers to tough Questions(Grand Rapids: Kregel,1997), pp.82-84
   4. Simon J. Devries, Op.cit., p.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