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앗수르 왕이 구스 왕 디르하가가 나와서 더불어 싸우고자 한다 함을 듣고 다시 히스기야에게 사자를 보내며 가로되" (왕하 19:9)
산헤립의 비문에는 그가 유다를 침입하고 예루살렘을 포위한 것이 주전 701년이었다고 한다(왕하 18-19장; 36-37장). 이 작전에 대한 성경적인 기록은 역시 구스의 디르하가 왕의 위협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왕하 19:9). 그러나 Kawa Stela 4는 디르하가가 애굽의 지배자로 주전 701년에 단지 아홉 살이었다고 지시하고 있어서 그 나이에는 산헤립을 격파시킬 군대를 지휘할 수가 없었다는 것이다. 또 주전 701년에 그는 왕도 아니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주전 701년에 그는 실제로는 왕자였고 690년까지는 왕이 아니었으나 이사야의 이 부분은(사 37:9) 681년전에는 기록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왕으로 디르하가에 대해 말하는 것은 자연스러웠다고 한다(1). 그러나 어떤 학자들은 디르하가의 군사 작전은 산헤드립에 의한 제1차 유다의 침공으로 주전 680년경에 발생했으리라고 한다. 그렇게 보는 이들은 디르하가가 690년에 통치를 시작했고 산헤립이 681년에 죽었으므로 그사이 어느 해로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다더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디르하가는 주전 701년에 적어도 이십 세나 이십일 세였음을 증명하였으며 그보다 더 나이가 많았을 가능서도 있으므로 그의 형 세비트쿠(Shebitku)의 군대를 잘 통솔할 수 있었다고 한다(Kitchen)(2). 그는 수단(구스)의 왕으로 이십오대 왕조에서 바로가 되었다(H.Reviv). 디르하가는 주전 713년에 죽은 피안키(Piankhy)의 아들로 주전 701년에는 단지 아홉 살이었다고 하나 그의 형 세비트쿠(Shebitku)가 주전 702년에 왕위에 오를 때 실제로는 이십 세였을 것이다. 그것은 애굽 원문들에 대한 더 자세한 연구로 인한 결과이며 그의 형은 그를 유다로 가는 군사 작전에 지휘자로 썼을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되었듯이 그가 그 당시에 통치하고 있는 왕이 아니었을지라도 그가 맡은 군사 작전을 충분히 지휘할 능력이 있었다. 또 고대 동방에서는 저자가 사람이나 장소에 관해 언급할 때 후대의 호칭으로 삼는 것이 하나의 일반적인 관례였다(3). 이런 맥락에서 이사야 36장과 열왕기하 18장은 그를 왕으로 기록했으며 실제로 애굽의 원문은 그가 다만 왕자였을 때 한때 그를 폐하로 언급하였다(Kawa Stela 4. 7-8)(4). 그러므로 디르하가는 주전 701년에 산헤립을 대항해서 전투를 수행할 능력이 있었다.
주 1. The NIV Study Bible(Grand Rapids: Zondervan, 1985), p.1067 2. R.D. Patterson and Hermann J. Austel, 1, 2 Kings, E. B. C. Vol.4(Grand Rapids: Zondervan, 1988), p.264 3. J. Carl Laney, Answers to Tough Questions(Grand Rapids: Kregel, 1997), pp.88-89 4. K.A. Kitchen, Ancient Orient and Old Testament(Downers Grove: IVP, 1966), p.8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