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가는 사마리아에서 20년을 통치하였는가?
RevSuh  2008-07-31 12:41:26 hit: 1,016

     "유다 왕 아사랴 오십이년에 르말랴의 아들 베가가 이스라엘 왕이 되어 사마리아에서 이십 년을 치리하며"  (왕하 15:27)

여기 나오는 베가는 주전 741-732년 사이에 이스라엘을 다스린 왕으로 유다의 아하스와 다메섹의 르신과 동시대인이었다.  그의 이름 베가란 뜻은 그는 열린 눈을 소유했다는 뜻이다.
  
그런데 문제는 베가의 통치에 대한 실제적 연대가 그의 암살과 죽음에 대한 성경의 자료와 맞지 않는데 있다. 웃시아의 38년이 주전 753-752년이요 주전 732년에 사마리아가 멸망되었다면 스가랴(6개월), 살룸(1개월), 므나헴(10년), 브가히야(2년), 베가(20년) 그리고 호세아(9년)을 다 합하면 41년 7개월인데 실제로 이 기간은 30년밖에 되지 않는다(1).  좀더 좁혀서 보면 베가는 그가 므나헴의 아들 브가히야를 죽인 때인(15:25) 주전 739년까지는 사마리아에 그의 본부를 세우지 않았으며 그가 호세아에 의해 주전 732년에 암살되었다. 이렇게 볼 때 베가는 사마리아에서 20년을 다스린 것이 아니라 단지 8년 동안만 다스린 것으로 보인다(2). 이렇게만 보아도 베가의 통치 연대는 맞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또 사마리아의 멸망은 성경과 세속 역사의 계산으로 주전 722년이요 아사랴의 52년은 주전 740년이 된다. 그러므로 위에서 언급한 여러 왕들과 베가의 통치 연대가 그 사이에 들어갈 수가 없는 것이다(3).
  
따라서 베가의 통치 연대가 20년이라는 것은 사실과 맞지 않는 것 같다.
이 문제에 대해 몇 가지 해답이 있다.

1. 베가의 20년 통치는 그의 20년의 시작이 스가랴의 암살 때부터 시작된다.  베가는 길르앗의 50명의 군인들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었으며(왕하 15:25) 저들과 함께 브가히야를 죽이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 물론 그 당시에 요단강 서쪽에 므나헴을 축출하지는 못했으나 그의 입장에서는 이미 짧은 통치의 브가히야 시대부터 그가 길르앗의 지휘관이 된 때부터를 그의 통치시대로 본 것이다. 다시 말해서 그의 20년 통치는 브가히야 시대의 트랜스욜단에서 권리(통치)를 가리킬 것이다(4).
  
2. 베가는 반앗수르 정책을 지속적으로 수행했을 것이며 남쪽 유다 왕국의 연대기에서는 베가의 왕위 주장을 온전히 신임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때는 스가랴의 죽던 해인 주전 752년이었다. 그는 왕권을 요구했고 트랜스욜단 길르앗의 왕으로 인식되었으나 므나헴을 통한 이스라엘의 군사력은 베가의 진출을 봉쇄시켰다. 그러나 주전 742년에 강력했던 므나헴이 죽자 베가의 문제가 다시 표면화되었으며 브가히야는 베가를 그의 경호원으로 기용해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2년 후에 브가히야를 처치할 기회를 가졌고 전체 이스라엘을 다스릴 수 있게 되었다(5). 이렇게 하여 그는 주전 740년이나 739년경에 공식적으로 사마리아에서 다스리게 되었다.
  
3. 티리(Thiele)의 가정을 많은 학자들이 수용하고 있는데 위의 설명들과 대동소이하다. 그는 베가의 20년 통치가 전체 나라의 왕으로 그가 즉위한 때부터가 아니라 욜단의 동편에 분리한 왕국의 최초의 설립때부터 계산한 것이라고 보았다(6).

우리는 이 사건에서 무엇을 배우는가?
순리를 외면하고 칼로 탈취한 정권은 역시 칼로 망한다는 사실이다.  나라의 위정자도 그의 위에 왕중의 왕이신 하나님이 계신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러므로 위정자는 하나님의 인정을 받는 순리에 따라서 통치자의 자리에 올라야 하며 그의 뜻을 따라 백성을 다스릴 책임이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

   주
   1. Pictorial Encyclopedia of the Bible, Vol.4(Grnad Rapids: Zondervan, 1976),p.669
   2. 글리슨 아쳐, 성경 난제 백과사전(서울: 생명의 말씀사, 1990), p.282
   3. R.D. Patterson and Herman J. Austel, 1 & 2 KIngs, E. B. C, Vol.4 (Grand Rapids: Zondervan, 1988),  pp.238-239
   4. Pictorial Encyclopedia of the Bible, Ibid.,
   5. R.D. Patterson and Herman J. Austel, Ibid.,
   6. T.R, Hobbs, 2 Kings(Waco: Word, 1985), p.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