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여호와께서 에돔에 대하여 이같이 말씀하시니라"  (옵 1:1)

에돔이란 말은 붉다는 뜻으로 붉은 팟죽으로 장자의 기업을 판 것 때문에 에서에게 부쳐진 이름이거나(창 25:30; 36:1, 8, 19) 집합적으로 에돔 족속(민 20:18, 20-21; 암 1:6, 11;  9:12; 말 1:4)을 가리킨다.  더 나아가서 이전에 세일의 땅이었던 곳을 에서의 후손들이 점령한 곳을 가리켰다(참 32:3; 36:20-21, 30; 민 24:18).  그 곳은 와디젤드(Wadizered)에서부터 대략 160㎞가 되는 아카바만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아라바의 양편이나 에돔의 광야와(왕하 3:8, 20) 사해에서 홍해까지를 연결하고 있는 큰 구렁에까지 확대된다(창 14:6; 신 2:1, 12; 수 15:1; 삿 11:17-18; 왕상 9:26).  그 정상은 1,067미터에 이르며 비옥한 땅은 아니나 경작할 수 있는 좋은 곳도 있다(민 20:17, 19).  성경 시대에 왕의 큰 도로가 동쪽 고원지대를 따라 나 있었다(민 20:14-18).  수도 셀라는 페트라 뒤 편 적은 고원에 위치해 있었다.  그리고 다른 주요 도시로서는 보스라와 데만이었다.
  
에돔 족속은 에서의 후손으로(창 36:1-17) 그들이 그 곳으로 이주하면서 원주민이었던 호리 족속과 연합하므로 지배적인 집단이 되었으며(창 14:6) 다른 족속들도 그들의 수에 가담하였다. 그리고 에돔 족속은 이스라엘을 다스리는 어느 왕이 있기 전에 벌써 왕을 소유하고 있었다(창 36:31-39; 대상 1:43-51).  출애굽 때에 이스라엘은 에돔에게 왕도를 따라 여행할 수 있도록 요청하였으나 거절당했으나 그들의 형제로 알아 공격하지 않았다(민 20:14-21; 21:4; 삿 11:17-18; 신 23:7-8).1)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서와 야곱의 후손 사이에는 불화와 적대관계가 지속되었다.
  
그 중요한 사건을 열거하면 아래와 같다.

  1. 에서는 야곱을 죽이려고 위협했다(창 27:41)
  2. 에돔은 이스라엘이 그들의 땅을 통과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다(민 20:14-20).
  3. 사울은 에돔을 대적해서 싸웠다(삼상 14:47).
  4. 다윗은 에돔을 굴복시켰다(삼하 8:14).
  5. 아마시야는 에돔을 정복하고 셀라를 포획했다(왕하 14:7)
  6. 에돔은 유다를 배반했다(대하 21:8-10).
  7. 에돔은 주전 586년에 예루살렘의 멸망을 자축했다(시 137:7, 렘 4:21-22).
  8. 유다 마카비는 에돔에 대한 후대 이름이었던 이두메아를 정복하였다(Josephus Antiquities 12.353)
  9. 존 힐카너스는 유대주의를 채택하도록 이두메 사람들에게 압력을 주었다(Josephus Antiquities 13, 257-58).
  10. 이두메 사람이었던 헤롯은 예수님을 죽이려고 했다(마 2:16-18).
  11. 헤롯의 아들 안디바스는 세례요한을 죽였다(마 14:1-12).
  12. 유대인의 전쟁기간동안(주후 66-70년) 이두메 사람들은 유대 군대의 지도자 시몬 벤 기오라스
       (Simon ben giorus)에 의해 공격을 받고 유린 당했다(Josephus War 4.534-537)(2).

따라서 에돔은 이삭의 아들로 야곱의 형 에서의 후손이면서도 항상 야곱의 후손인 이스라엘의 원수로 행하였다.  후대에 와서 에돔은 이두메로 그 이름이 바뀌었으나 선민에 대한 그들의 죄 때문에 하나님의 심판을 받아 쇠퇴하고 말았다.

     주
     1. New Bible Dictionary(Leicester: IVP, 1996), pp.290-291
     2. J. Carl Laney, Answers to tough Questions(Grand Rapids: Kregel, 1997), p.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