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댜의 묵시라" (옵 1:1) 오바댜서는 단지 21절로 구성되어 있어서 구약에서 가장 짧은 책이다. 여기서는 다만 오바댜의 묵시란 말씀(1:1)만 나오는데 구약에는 오바댜라는 이름을 가진 인물이 13명이나 나온다. 그러나 본서에서는 족보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구약에 나오는 오바댜라는 인물 중에 한 사람으로 생각할 뿐이다. 더구나 여기 오바댜서에는 저자의 가족이나 고향이나 그가 활약한 시대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다. 어떤 사람은 이세벨의 박해 기간에 백 명의 선지자들의 생명을 구해 준 아합의 종이었을 것으로 추측하나(왕상 18:4), 그 증거는 그가 동일 인물임을 보장하지 못한다(the Babylonian Talmud C. Sonh, 396).1) 그러나 말라기가 나의 사자란 뜻으로 중개자로서 선지자의 역할에 대한 명칭이었으리라고 볼 때 야외의 종이요 경배자란 뜻의 오바댜도 같은 선지자의 역할을 가리켰을 것이다. 선지자들은 종종 종으로서 언급되었다(예, 왕상 14:18; 왕하 17:23; 렘 7:25; 슥 1:6).2) 따라서 오바댜는 본서의 저자요 선지자의 이름이었으며 오바댜는 유다의 환난의 때에 하나님의 선지자로 활동한 어떤 인물이었을 것이다. 그것이 어느 때였을까? 본서의 연대에 대해서도 논란이 그치지 않는다. 그 예언은 분명히 외국 군대에 의해 예루살렘이 공격을 받았을 때의 반응임이 분명하다. 만일 느브갓네살 아래서 멸망했던 주전 586년이었다면 또 에돔이 주전 제5세기에 나바시아 인둘의 통제를 받게 되었다면 본서의 저작 시기는 586년 시온의 침공 후 어느 시기였을 것이다.3) 따라서 우리는 이렇게 결론할 수 있다. 오바댜서의 저자는 선지자 오바댜로 그가 예루살렘에 살았는지는 잘 모르지만 예루살렘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전파한 공적 선지자 훈련을 받은 제6세기 유대 선지자였을 것이다.4) 주 1. Billy K. Smith and Frank S. Page, Amos, Obadiah, Jonah(Brodman & Holman, 1995), p.173 2. David W. Baker, Obadiah(Downer Grove: IVP, 1988), p.23 3. Carl E. Armerding, Obadiah(Grand Rapids: Zondervan, 1985), p.337 4. Douglas Stuart, Hosea-Jonah(Waco: Word, 1987), p.407